살림과 일상

토머스 페인의 토지권 사상, 오늘날 경제민주화 운동으로 이어질 수 있을까? 본문

사회문제

토머스 페인의 토지권 사상, 오늘날 경제민주화 운동으로 이어질 수 있을까?

2025지속가능네트워크 2025. 4. 10. 11:17
반응형

 

🌍 토머스 페인의 토지권 사상, 오늘날 경제민주화 운동으로 이어질 수 있을까?

프랑스혁명과 미국 시민혁명의 정신을 이끈 사상가 중 한 명인 토머스 페인(Thomas Paine)은 ‘상식(Common Sense)’과 ‘인권의 권리(Rights of Man)’를 통해 자유와 평등의 가치를 널리 알렸습니다. 그러나 그가 말년에 쓴 『토지 정의(Agrarian Justice, 1797)』는 그가 단지 정치적 자유만이 아닌 경제적 권리, 특히 토지권을 시민권의 핵심 요소로 보았음을 잘 보여줍니다.

🧠 토머스 페인의 핵심 사상: "토지는 모든 인간의 공동 자산이다"

  • 토지는 하늘이 모든 인간에게 준 공통의 유산이다.
  • 토지는 사유화될 수 있지만, 그로 인한 자연적 이익은 사회 전체의 몫이다.
  • 모든 시민에게 일정한 기본소득(dividend)을 제공해야 한다.
“지구는 원래 모든 인간에게 공통된 유산이다.”
“토지에서 발생하는 이익은 사회가 함께 나눠야 한다.”

🏛️ 페인의 사상과 오늘날 민주공화국의 연결

토머스 페인 대한민국 헌법
토지는 모두의 것이다. 토지공개념: 헌법 제122조
자연 이익은 사회가 함께 나눠야 한다. 경제민주화: 헌법 제119조

⚙️ 오늘날 경제민주화 운동으로 어떻게 전개될 수 있을까?

1. 시민권을 경제적 권리까지 확장하자

법적 평등을 넘어서 주거권, 노동권, 토지권이 보장되어야 진정한 시민권이 완성됩니다.

2. 토지와 공유 자원의 공공성 회복

토지는 생존의 기반이며, 사회적 자산으로 공정하게 배분되어야 합니다.

3. 경제 주권을 국민에게

대기업의 독점 구조를 넘어서 국민이 직접 자원과 생산 수단을 통제할 수 있는 구조로의 전환이 필요합니다.

🔍 현대에 이어지는 실천 사례

실천 모델 내용
알래스카 기본소득 석유 수익을 주민에게 매년 배당
핀란드 기본소득 실험 실업자에게 무조건적 소득을 지급하고 변화 측정
독일 사회주택 모델 시민들이 공동으로 주택 소유 및 운영
서울시 사회주택 토지 공공 소유 + 민간 운영 모델

✨ 결론: 토머스 페인의 사상은 오늘날에도 살아 있다

페인의 사상은 오늘날의 경제적 불평등, 자산 양극화 문제에 대응하는 경제민주화 운동의 철학적 뿌리로 작용합니다.

진정한 민주공화국은 정치적 권리뿐 아니라 경제적 주권을 실현할 때 완성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