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공전과 사전
- 불로소득 시대 부자들의 정체
- 갑자사화
- 차별금지법
- 오블완
- 훈구파
- 티스토리챌린지
- 국민연금
- 소년이 온다
- 연산군
- 크리스마스
- 채식주의자
- 민본
- 비상계엄
- 전강수
- 부동산과 정치
- 사림파
- 치매 예방
- 문재인 정부 부동산 정책
- 치매
- 집중력
- 민본정신
- 노벨문학상
- 부의 추출
- 폐비윤씨
- 불로소득 시대
- 을사사화
- 한강
- 난카이 대지진
- 한명회
- Today
- Total
목록불로소득 시대 부자들의 정체 (3)
살림과 일상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c86JsX/btsMjKDz65P/3sB5PcC4XERYRiVDYbYSCK/img.jpg)
최근 출간된 《불로소득 시대, 부자들의 정체(Why We Can't Afford the Rich)》는 현대 사회에서 상위 1%가 어떻게 경제적 자원을 독점하고 부를 축적하는지를 폭로하는 도서이다. 이 책을 번역한 전강수 경제학자는 국립경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의 강연에서 ‘불로소득은 정말로 문제일까?’라는 질문을 던지며, 불로소득을 통해 소득과 자산의 불평등이 심화되는 구조를 설명했다. 본 서평에서는 이 책이 제기하는 주요 논점과 우리 사회에 던지는 의미를 분석하고자 한다.불로소득이란 무엇인가?책에서 다루는 ‘불로소득’(Unearned Income)이란 단순히 노동을 통해 얻어지는 소득이 아닌, 부동산, 금융자산, 특허 독점, 정치적 특혜 등을 통해 생성되는 소득을 의미한다. 저명한 사회과학자인 앤드류 세..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VzGS8/btsL3yQ4F8w/Jq04WZ9xzE3cbzdJTOqWm0/img.jpg)
현대 사회에서 불로소득(earned income without labor)은 경제적 불평등을 심화시키는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습니다. 특히, 자산을 통한 부의 축적이 노동을 통한 소득보다 더 큰 비중을 차지하면서 사회적 불균형이 심화되고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불로소득이 어떻게 부의 집중을 초래하는지, 이에 따른 경제적 위기와 자본주의 시스템의 문제점을 분석해 보겠습니다.1. 불로소득과 경제적 불평등의 심화경제학자 토마 피케티는 그의 연구에서 불평등이 확대되는 근본적인 원인이 자산을 통해 부를 축적하는 방식에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불로소득이란 기존의 부를 활용하여 추가적인 소득을 창출하는 방식으로, 대표적인 예로 부동산, 주식, 금융상품 등이 있습니다.📈 불평등의 가속화상위 1% 부유층의 부의 집중..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ck8StU/btsLArY3NKu/QzJvQTtY6RRplmDDIRbup1/img.jpg)
부자들의 부는 얼마나 정당한가? 현대 사회에서 부자는 뛰어난 능력과 노력으로 성공을 이룬 상징적 존재로 간주된다. 그러나 앤드류 세이어의 불로소득 시대 부자들의 정체는 이 믿음에 정면으로 도전하며, 부자들의 부가 정당하지 않을 뿐 아니라, 사회적 불평등과 경제적 위기의 핵심 원인임을 밝힌다. 이 책은 부유층의 부가 어떻게 축적되고, 그 과정에서 어떤 사회적 비용이 발생하는지 상세히 파헤치며, 불로소득이라는 숨겨진 경제적 구조를 폭로한다.1부: 부의 추출에 대한 안내세이어는 책의 첫 부분에서 경제 용어의 함정을 조명한다. 흔히 긍정적으로 사용되는 단어인 ‘벌이,’ ‘투자,’ ‘부’는 그 자체로 중립적인 의미를 가지지만, 현대 자본주의에서 이 단어들은 부의 추출 과정을 은폐하는 데 사용된다고 지적한다.노력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