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민본
- 연산군
- 한강
- 이순신
- 문재인 부동산
- 훈구파
- 2025년 예언
- 비상계엄
- 희년
- 치매 예방
- 불로소득 시대 부자들의 정체
- 인조
- 선조
- 치매
- 폐비윤씨
- 희년실천
- 난카이 대지진
- 광해군
- 전강수
- 보유세
- KF-21
- 차별금지법
- 오블완
- 문재인 정부 부동산 정책
- 티스토리챌린지
- 노벨문학상
- 부동산과 정치
- 사림파
- 임진왜란
- 불로소득 시대
Archives
- Today
- Total
살림과 일상
청년 멘탈을 붕괴시킨 전세사기, 왜 사회적 재난인가? 본문
반응형
청년 멘탈을 붕괴시킨 전세사기, 왜 사회적 재난인가?
1. 피해 규모와 특성 ― “청년이 첫째 타깃”
- 피해액: 최근 몇 년간 공시된 피해만 수천 억 원대
- 피해자 연령: 20·30대가 50% 이상, 사회 초년생의 전 재산이 사라짐
- 지역 분포: 수도권 빌라촌 & 다세대 주택 밀집 서민지역에 집중
- 본질: 건축주·중개인·은행·감정평가사가 얽힌 조직 범죄
미추홀구 9,000만 원 피해 사례처럼 “몇 천만 원쯤이야?”라는 기성세대 인식은 청년 노동 9년 분의 절망을 이해하지 못한 결과다.
2. 100년을 반복한 구조적 원인
전세사기 4대 병목
- 정보 비대칭 – 실거래가·채권 위험 실시간 파악 불가
- 중개·분양대행 도덕적 해이 – 감독 사각지대 악용
- 페널티 부재 – 처벌은 바지사장, 실질 책임자는 무풍지대
- 모니터링 부재 – 공공 데이터 흩어져 사기 징후 미탐지
1933년 <조선일보>에 이미 같은 전세사기 수법이 보도됐다. 제도가 바뀌어도 전세라는 고위험 금융 구조가 그대로인 한 범죄 모델은 재생산된다.
3. 주택 시장을 흔드는 도미노 효과
- 빌라 포비아 → 전세사기의 80%가 빌라·오피스텔: 수요 급감
- 공급 위축·가격 왜곡 → 희소성 탓에 남은 빌라 전세가 상승
- 아파트 전세가 동반 상승 → 탈(脫)빌라 수요가 아파트로 몰림
- 가처분 소득 감소 → 주거비 인상 + 임금 정체 → 소비 위축 → 경기 둔화
주거 사다리의 맨 아래가 무너지면 상위 시장도 연쇄적으로 흔들린다.
4. 정부 대응, 왜 형평성에서 실패했나
PF(프로젝트파이낸싱) 부실에는 수조 원 투입, 전세사기엔 “사인 간 거래”라며 지원을 망설였다. 두 경우 모두 사인 간 계약이지만 피해층과 로비력 차이가 다를 뿐이다.
해결 로드맵
- 반(半)전세 전환 – 보증금 50% 이하 제한, 잔액 월세화
- 전세정보 통합 플랫폼 – 확정일자·등기·채권 현황 일원화
- 중개·분양대행 등록제 & 징벌적 배상
- 국가주도 보증보험 의무화 – 다가구·신축 포함
- 특별법 기반 구제 기금 – 범죄수익 환수금 우선 배분
5. 저출산과 직결된 ‘청년 멘붕’
2024년 예상 합계 출산율 0.6대. “내 나라가 내 재산도 못 지켜주는데 아이를 왜 낳나?”라는 질문이 청년들에게 확산된다면, 수십 조 원대 저출산 예산은 모래성에 그칠 것이다.
6. 결론 ― 전세사기는 금융 사기 + 주거권 침해 + 저출산 심화
전세사기를 방치하면 청년의 삶·주택시장·국가경제·인구 구조가 동시 붕괴한다. 정부와 사회는 피해자 구제 → 예방 인프라 → 전세 제도 축소라는 3단계 해법을 즉시 실행해야 한다.
청년의 보증금은 개인 재산이자 대한민국의 미래 자산이다. 이 싸움은 청년 개인이 아닌 우리 모두의 싸움이다.
반응형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세사기, 더 이상 남의 이야기가 아니다 (2) | 2025.05.15 |
---|---|
‘스트레이트’가 파헤친 건설사-언론 유착 의혹: 우리는 왜 이 취재에 주목해야 하는가? (1) | 2025.05.06 |
문재인 정부 부동산 정책 흐름 정리: 투기 억제에서 공공 공급 확대까지 (0) | 2025.05.05 |
서울 부동산, 이제는 ‘슈퍼 사이클’인가? (0) | 2025.04.30 |
“토지이익배당제‑국토보유세는 포퓰리즘?” ― 그 오해를 풀다 (0) | 2025.04.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