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폐비윤씨
- 임진왜란
- 문재인 부동산
- 이순신
- 치매
- 부동산과 정치
- 을사사화
- 노벨문학상
- 불로소득 시대
- 소년이 온다
- 갑자사화
- 오블완
- 훈구파
- 티스토리챌린지
- 치매 예방
- 연산군
- 일본 대지진
- 차별금지법
- 희년
- 한강
- 비상계엄
- 문재인 정부 부동산 정책
- 불로소득 시대 부자들의 정체
- 선조
- 전강수
- KF-21
- 사림파
- 한명회
- 난카이 대지진
- 민본
- Today
- Total
목록김상봉 (2)
살림과 일상

한국 사회는 현재 깊은 혼란 속에 있습니다. 민주화 운동을 통해 독재 정권을 무너뜨리고 민주주의를 실현하는 데는 성공했지만, 진정한 민주주의 문화는 제대로 자리 잡지 못했습니다. 이에 따라 생각이 다른 사람들과 평화적으로 합의를 도출하는 능력이 부족하며, 사회 곳곳에서 갈등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이는 단순한 정치적 대립을 넘어 사회적 문제로 번지고 있으며, 이러한 갈등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방향과 노력이 필요합니다.한국 민주주의의 공백과 과제김상봉 교수는 한국 민주주의의 공백을 지적하며, 민주화 운동의 성과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의견을 존중하고 공통분모를 찾는 문화가 정착되지 않았다고 분석합니다. 민주주의는 다양한 의견을 가진 사람들이 상호 존중하며 공통의 합의점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발전해야 합니다...

이 책은 김 교수의 반성과 성찰의 산물입니다. 그는 진보신당 강령 작업에 참여한 경험과 지난 수십 년간 진보 정치를 경험하며, 진보 정치가 왜 실패했는지 고민해왔습니다. 김 교수는 진보 정치가 공공선을 위한 헌신적 에너지를 잃어버리고, 권력 투쟁과 적대적 대립에 함몰되었다고 진단합니다.왜 영성이 중요한가?김 교수는 한국 민주주의 역사가 종교적 영성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고 봅니다. ‘나와 전체, 나와 역사가 하나’라는 믿음, 즉 영성은 동학농민혁명과 3·1운동 같은 대규모 항쟁의 핵심 동력이었습니다. 한국 민중운동은 서구의 세속주의적 진보와 달리, 종교적 신앙이 혁명적 운동의 토양이 되는 독특한 전통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이러한 역사적 맥락 속에서, 영성의 상실은 곧 민주주의와 진보 정치의 위기를 의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