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광해군
- 사림파
- 난카이 대지진
- 한강
- 문재인 부동산
- 2025년 예언
- 불로소득 시대 부자들의 정체
- 희년
- 문재인 정부 부동산 정책
- 민본
- 비상계엄
- 티스토리챌린지
- 치매 예방
- 부동산과 정치
- 연산군
- 전강수
- 선조
- 차별금지법
- 치매
- 희년실천
- 이순신
- 불로소득 시대
- KF-21
- 임진왜란
- 보유세
- 폐비윤씨
- 훈구파
- 인조
- 노벨문학상
- 오블완
- Today
- Total
목록부활 (3)
살림과 일상

구약에서 부활을 읽는다는 것: 김근주·전성민 대담 리뷰부활 신앙은 기독교의 핵심 중 하나입니다. 하지만 우리가 알고 있는 부활 신앙은 대부분 신약 성경에 기반한 것이며, 구약에서는 그 흔적을 찾기 어렵다는 인식이 강합니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구약학자 김근주, 전성민 두 교수는 ‘구약으로 읽는 부활 신앙’을 주제로 심도 깊은 대담을 나눴습니다.📖 대담의 배경: 구약으로 ‘부활’을 묻다이번 대담은 ‘김근주 읽기 모임’의 세 번째 책거리 행사로 진행되었습니다. 강경희 집사님의 주도로 결성된 이 모임은 김근주 교수의 책을 함께 읽고 그 사상과 신앙을 공유하는 장입니다.“구약에 부활이 명확히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이 주제를 다루는 것이 중요하다.” - 김근주 교수🔄 구약과 신약, 단절인가 연속인가?..

구약의 죽음관부터 신약의 부활 신앙까지: 하나님의 신실하심을 향한 여정1. 구약 시대, 죽음은 끝이었다구약 성경에는 에녹과 엘리야처럼 죽음을 겪지 않고 하늘로 올라간 인물들이 등장하지만, 이들이 부활 신앙의 기반이 되지는 않았습니다. 구약의 신앙은 철저히 현세 중심이었으며, 하나님과 동행하는 삶이 신앙의 핵심이었습니다.죽음 이후를 상상하기보다, 지금 이 땅에서 하나님과 함께 살아가는 것이 중요했습니다.에덴동산에서 아담과 하와가 생명나무 열매를 먹지 못하게 된 장면은 인간이 영생에 접근할 수 없음을 상징적으로 보여줍니다.2. 예수 그리스도와 함께 열린 부활 신앙신약 시대는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로 인해 새로운 전환을 맞이합니다. 바울은 예수의 부활을 “잠자는 자들의 첫 열매”라고 표현하며, 고난을 감수할 이..

오늘날처럼 혼란과 불확실성이 가득한 시대에, "예수의 부활을 믿는다"는 고백은 단순한 종교적 선언을 넘어 삶의 방향을 다시 묻는 깊은 질문이 됩니다. 제럴드 오콜린스의 책 『우리는 부활한 예수를 증언한다』는 이러한 부활 신앙의 본질을 묻고, 그 의미를 신학적으로 성찰하며, 독자가 스스로 그 의미를 새기도록 돕습니다.📘 부활은 증거가 아니라 신뢰와 사랑에서 출발한다오콜린스는 부활을 단순한 역사적 증명이나 논리적 귀결로 환원하지 않습니다. 그는 "부활은 증거로 생기는 것이 아니라, 사랑과 은총, 그리고 희망을 통해 형성된다"고 말합니다. 실제로 예수의 부활을 믿게 되는 과정은, 논리적 증명보다 인격적 만남과 공동체적 예배를 통한 체험 속에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므로 부활을 믿는다는 것은 특정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