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치매 예방
- 연산군
- 이순신
- 폐비윤씨
- 임진왜란
- 불로소득 시대 부자들의 정체
- 차별금지법
- 부동산과 정치
- 희년실천
- 난카이 대지진
- 치매
- 사림파
- 희년
- 문재인 정부 부동산 정책
- 광해군
- 불로소득 시대
- 민본
- 문재인 부동산
- 훈구파
- 오블완
- 2025년 예언
- 비상계엄
- 선조
- 노벨문학상
- 전강수
- KF-21
- 보유세
- 인조
- 티스토리챌린지
- 한강
- Today
- Total
목록서울시 싱크홀 (2)
살림과 일상

서울시 싱크홀 지도 비공개 논란, 시민 안전은 뒷전인가?서울시가 싱크홀 위험 정보를 담은 ‘지반침하 안전지도’를 만들어 놓고도 이를 비공개하고 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시민들의 분노가 커지고 있습니다. 지도에는 총 181개 도로의 지반 상태와 지하 시설 정보를 종합해 위험도를 다섯 등급으로 나눈 내용이 담겨 있지만, 서울시는 부동산 가격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이유로 공개하지 않고 있습니다. 과연 집값이 시민의 생명보다 중요한 것일까요?연희동 사고 후 만들어진 지도, 강동구 사고 이후 돌연 비공개서울시는 2023년 8월 연희동에서 발생한 싱크홀 사고로 한 시민이 사망하자, 싱크홀 위험 지역에 대한 지도를 만들겠다고 약속했습니다. 그러나 2024년 강동구에서 또 다른 싱크홀 사고로 사망자가 발생하자, 서울..

서울 강동구 대형 싱크홀 사고로 본 원인, 위험성, 예방 대책 총정리2024년 3월 24일, 서울 강동구 왕복 6차선 도로 한가운데에서 거대한 싱크홀이 발생했습니다. 지름 20m, 깊이 18m에 달하는 이번 사고는 우리나라에서 발생한 싱크홀 중 가장 큰 규모로 추정됩니다. 특히 이 사고로 안타깝게도 한 시민이 목숨을 잃는 일이 벌어졌습니다.✅ 싱크홀, 왜 생길까?싱크홀은 크게 두 가지 원인으로 나뉩니다:자연적 원인: 석회암 지역 등 자연 침식으로 발생 (국내 빈도 낮음)인위적 원인: 노후 상하수도관 파열, 지하공사, 지반 약화 (국내 주요 원인)서울시 통계에 따르면 전체 싱크홀의 60%가 노후 상하수도 관로 문제로 발생합니다.📌 주요 사례로 본 싱크홀의 현실2014년 송파 석촌동: 지하철 공사 중 발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