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문재인 정부 부동산 정책
- 불로소득 시대
- 2025년 예언
- 보유세
- 인조
- 차별금지법
- 전강수
- 비상계엄
- 한강
- 이순신
- 민본
- 희년
- 훈구파
- 오블완
- 노벨문학상
- 치매 예방
- KF-21
- 사림파
- 임진왜란
- 불로소득 시대 부자들의 정체
- 광해군
- 부동산과 정치
- 난카이 대지진
- 티스토리챌린지
- 치매
- 문재인 부동산
- 희년실천
- 폐비윤씨
- 연산군
- 선조
- Today
- Total
목록정묘호란 (2)
살림과 일상

인조, 비운의 왕인가? 조선 중기 정치의 소용돌이 속으로조선 제16대 왕 인조(仁祖)는 격변의 시기에 왕위에 오른 인물입니다. 그는 화려한 업적 대신 반정과 내침, 아들과의 비극적 갈등으로 많은 이들의 기억에 남아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인조의 가계도, 인조반정의 배경, 주요 정책과 사건, 소현세자와의 관계, 그리고 인조의 인간적 평가까지 종합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1. 인조의 가계도와 즉위 배경인조는 선조의 서자인 정원군(원종)의 아들로, 이름은 이종(李倧)입니다. 광해군이 후계자를 두지 않고 대북정권이 권력을 독점하자, 이에 반발한 서인 중심의 세력은 1623년 인조반정을 통해 이종을 왕위에 올렸습니다.🔎 핵심 키워드: 인조 가계도, 광해군 폐위, 인조반정 배경2. 인조반정과 서인의 정치인조반정은 ..

굴욕의 왕 인조와 조선의 위기: 반정에서 병자호란까지▲ 삼전도에서 청태종 앞에 무릎 꿇은 인조 (상징 이미지)1623년, 능양군이 광해군을 폐위하고 조선의 16대 왕 인조로 즉위합니다. 이를 ‘인조반정’이라 부르며, 명분은 광해군의 불효와 친후금 정책이었습니다. 반정 이후 조선의 외교는 급변하게 됩니다.실리를 추구한 광해군, 명분을 앞세운 인조광해군은 명과 후금 사이에서 균형을 잡는 중립외교를 펼쳤지만, 인조는 명나라와만 가까이 하며 후금을 배척했습니다. 이는 곧 전쟁으로 이어집니다.정묘호란: 후금의 첫 침공1627년, 후금이 조선을 침공하며 정묘호란이 발발합니다. 인조는 강화도로 피신했고, 조선은 형제국을 맺는 굴욕적 화의를 체결하게 됩니다.병자호란: 남한산성의 고립과 항복1636년, 후금이 청으로 국..